창조경제 키워드는 ‘신산업’과 ‘창업’

박근혜 정부의 핵심 부처 '미래창조과학부'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미래부의 수장인 최문기 장관이 우여곡절 끝에 임명됨에 따라 미래부는 박근혜 정부가 주창하는'창조경제'구현의 핵심 부처로 가동을 시작한 것이다. 미래부는 2013년도 첫 업무계획을 보고하는 자리에서 SW와 콘텐츠를 창조경제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밝혔다. 특히 국가 R&D와 ICT 역량을 총동원해 창업생태계를 조성하는 한편 ICT를 기반으로 신산업과 신수요를 창출하고 기존산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미래부가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밝힌 내용을 중심으로 창조경제와 미래창조과학부의 역할을 알아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박근혜 정부의 '브랜드 부처'다. 박 대통령이 강조해 온 창조경제를 이끌 전담 부서다. 여야 간 공방에 따른 국회의 정부조직법 개정 지연과 김종훈 전 장관 내정자의 중도 사퇴 등 잡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주목을 받은 것도 그래서다. 하지만 정작 미래부 장관은 새 정부 출범 52일 만에 최문기 장관이 임명됐다. 부처 중 가장 늦었다. 그 때문에 박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미래부 업무보고에서 '속도전'을 주문했다. 그는 "'만시지탄(晩時之歎)'이라는 말이 있지 않나. 마지막 탄식할 '탄(歎)'자를 탄환 '탄(彈)'자로 바꿔보면 어떨까 생각한다"며 "다 늦었다고 탄식할 것이 아니라 총알 같은 속도로 열심히 업무에 임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대통령의 주문에 "연구개발·ICT(정보통신기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이미 세상에 존재하는 산업만으로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진단하고, ICT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육성하여 신산
업을 창출하고 각 산업에 융합·확산시켜 창조경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60년대 과학기술처, 90년대에는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가 산업발전 및 정보화의 초석이 되었듯이 창조경제 시대에는 미래부가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창업생태계를 구축하고 신산업·신수요를 창출해 2017년까지 일자리 40만8000개를 만들겠다"고 보고했다. 일자리 40만8000개는 박근혜 정부의 고용률 70%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새 일자리 238만 개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미래부는 이를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학의 창업교육과 맞춤형 창업지원(기술지주회사)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21세기의 언어'인 소프트웨어(SW) 융합클러스터를 전국에 조성하기로 했다. 일반인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무한상상실'을 2017년까지 전국 시·군·구에 2곳씩 설치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창조경제의 화두인 '융합사업'계획도 여럿 선보였다. 과학기술에 아이디어·인문·예술 등을 융합한 신사업을 올해 2개, 2017년까지 총 10개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층간소음, 식품안전 문제 등 사회적 이슈를 과학기술로 해결하기 위한 범부처 프로젝트도 주도하겠다고 나섰다.

최문기 장관은 2013년 업무계획을 보고하면서 'ICT를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 실현'이라는 비전하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6대 전략을 제시했다.



<이하 상세 내용은 컴퓨터월드 5월 호 참조>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