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송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 강송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컴퓨터월드] 최근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둘러싸고 미-중 간 패권의 갈등이 첨예하게 전개되고 있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 폭탄을 부과하면서 본격화된 갈등은 중국 5G통신장비와 중국산 드론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입장에서 핵심기술의 선점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필수 조건이고, 중국의 입장에서는 인공지능과 같은 핵심기술의 장악은 추격형 대국에서 선도형 대국으로 부상하기 위한 양보 불가의 영역이다.

이 글은 AI라는 기술의 패러다임이 창출하는 새로운 세계 경제 질서가 우리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첨단 기술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미-중간의 패권 경쟁의 흐름을 ▲기술역량, ▲국가 전략, ▲AI 미래비전 등의 면에서 총 3회에 걸쳐 살펴본다.

미-중 기술패권 (기술역량) (이번호)
■ 미-중 기술패권 (국가 전략)
■ 미-중 기술패권 (AI 미래비전)

AI는 기술이지만, 같은 기술이라도 사람과 조직이 어떻게 구사하는가에 따라 성과가 다르듯이, 기술 그 자체를 활용하는 역량뿐 아니라, AI를 시장에서 구현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시장역량, 그리고 AI와 관련된 자원을 투입하여 얼마나 목적한 산출물을 생산해 내는가하는 기술 효율성 등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기술역량, 시장역량 그리고 효율성의 측면에서 미국과 중국의 AI역량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기술 역량 측면에서 미국과 중국의 AI 역량을 비교하면 미국이 중국보다 인프라, 인력 및 알고리즘 역량 등 전반적인 역량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슈퍼컴퓨터의 점유와 활용 그리고 전략적 특허출원 측면에서는 중국이 상대적으로 선방하며 추격하고 있다<표1>.

대용량의 연산능력이 필요한 AI 기술의 특성상 AI 인프라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의 경우, 2018년 11월 슈퍼컴퓨팅 연산능력(RMax) 기준으로 미국은 533 PFlops, 중국은 438 PFlops로 미국이 앞서고 있다1). AI인력2)의 경우, 미국(2만 8,536명)에 비해 중국(1만 8,232명)이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알고리즘 연구역량3)에서는 중국(65.17로 3위)이 근소한 차이로 미국(66.46으로 1위)을 앞서고 있다.

▲ <표 1> 2018년 기준 미중 기술역량 비교

둘째, 태동기에 있는 AI 기술과 상품의 다양성을 대리하여 볼 수 있는 시장 지표로서 기업 수를 살펴볼 수 있다. 총 AI 기업 수는 미국이 2,039개, 중국이 1,040개이지만, 특히 AI스타트업의 수를 보면, 미국(1,393개)과 중국(383개)의 격차가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4)

세계 AI 분야 100대 스타트업을 뽑아보면 미국은 77개, 중국은 6개의 스타트업이 이름을 올렸다. 10대 AI 스타트업에는 미국이 6개, 중국은 3개로 미국이 앞섰지만, 1· 2위는 SenseTime, Face++라는 중국의 안면인식 AI 스타트업이 차지했다.

마지막으로, 총요소생산성(TFP)에서 중국은 최근 증가율이 하락하고 있는데(Worldbank, 2019), 보고서는 이러한 총요소생산성의 하락이 산업별 혹은 산업 간에 기술혁신의 적용과 확산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역량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진단하기도 했다. 한편 AI관련 가용자원과 혁신성과의 관계로 도출한 기술적 초효율성(<표 2> 참조)에서도 미국이 다른 경쟁국가들과 층차가 다른 초효율성을 달성하는 국가인 반면 중국은 8개 경쟁국가 중에 7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2> 2018년 기준 8개국 AI가용 자원, 혁신성과 및 효율성 비교

AI기술역량 자체의 비교에서는 미국이 선도하고 중국이 추격하는 양상이지만, 몇몇 분야에서는 중국이 오히려 미국을 추월하는 양상이 포착되기도 한다. 일례로 세계 상위 500대 슈퍼컴퓨터의 점유율을 보면, 미국은 116대(23.2%)인 반면 중국은 219대(43.8%)로 2배가 더 많다. 이는 슈퍼컴퓨터의 개발에서는 다소 뒤지지만 활용과 적용은 중국이 자체시장을 발판삼아 우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AI특허의 경우에서도 미국이 37.1%로 비록 중국(24.8%) 보다 많은 등록 수를 보이고 있으나, Top 500개의 특허 등록기관 리스트를 보면 오히려 중국이 미국의 5배에 달하는 규모의 대학 및 공공 연구 기관들을 앞세워 특허를 등록하고 있다. 실제로 머신러닝, 특히 딥러닝 분야에서 235개 군의 가장 큰 특허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기관은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s, CAS)이며, 이 분야 대부분의 주요 포트폴리오는 중국 대학이 제출했다. 즉, 중국의 특허 등록 점유율은 다소 낮을지라도 핵심 참여자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특허를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 절대적 역량 측면에서 중국이 미국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안면 인식과 같은 특정 분야는 중국이 우위를 선점해가고 있는 형국이다. 대표적으로 센스타임은 글로벌 이미지 인식 경연 대회인 이미지넷에서 두 번이나 1위를 차지했다. 또한 메그비, 센스타임과 같은 굵직굵직한 안면인식 AI 기업들은 공안부 등 중국체제의 특성으로 인해 정부가 개입해 공공안전, 금융, 운송, 소매유통, 물류 등으로 적용 분야를 확대해 가면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는 2020년까지 전국에 4억 대의 안면인식 카메라로 범죄자를 식별하는 치안 정책을 내놓으면서 대규모 투자를 다행하고 있다. 반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는 2019년 행정당국의 안면인식 기술을 이용한 감시를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이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해석을 미국과 중국이 달리하기 때문에 출현되는 비즈니스 모델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역량 측면에서 미국과 중국을 비교해 보았다. 최근 AI가 모든 산업과 융합되고 응용되기 때문에 향후 미-중 AI패권 경쟁의 전개 양상은 보다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 AI 경쟁이 단순 기술 보호를 넘어 국가의 안보를 결정하는 이슈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서 중국의 방어와 미국의 전방위적 견제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는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

기술역량과 함께, AI에 대한 국가 전략과 미래상도 향후 양국 간의 기술패권의 전개 양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결국 미-중 양국의 AI패권 경쟁은 개별 기술경쟁이나 특정 산업영역에서 전개되는 국지적 경쟁이 아니라 다양한 산업을 아우르는 플랫폼 경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서는 국가 간 지향하는 사회상이 근본적으로 다른‘체제경쟁(system competition)’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미-중 양국 간 AI패권 경쟁의 관전 포인트이다. 다음 편에서는 전략적 측면에서 미-중 AI기술패권의 양상과 전망을 소개한다.

1) TOP500 슈퍼컴퓨터(www.top500.org)는 상용화된 컴퓨터 시스템 중 가장 파워풀한 500개의 리스트와 통계를 제공하며, 여기서 참조하는 슈퍼컴퓨팅 연산능력은 선형대수를 처리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인 LINPACK기반 테스트(LINPACK benchmark:http://www.netlib.org/benchmark/performance.ps)를 최대치(RMax)이다. 2018년 11월 기준 슈퍼컴퓨팅 연산능력(RMax)은 중국이 3위에 오른 SumwayTaihuLight이라는 시스템(93PFlops)을 보유하고 있지만 미국은 1위에 오른 Summit(143.5PFlops)과 2위에 오른 Sierra(94.6PFlops)를 보유했고, 본문의 통계는 국가별 TOP500에 등록된 슈퍼컴퓨터의 RMax값의 총합을 비교한 것이다.

2) 清华发布《中国AI发展报告2018》:中科院系统AI论文产出全球第一, 2008년~2017년 기준 인력 수 비교. http://www.qianjia.com/html/2018-07/16_298237.html

3) 2009년~2018년간의 학문적 연구 성과를 양, 질적으로 분석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AI두뇌지수 참조. AI두뇌지수는 연구역량 기준, 해당 국가의 상위 핵심 연구자 100명의 역량을 지수화 한 값으로, 인공지능 연구역량은 학술연구 수, 편당 인용 수, 세계 평균 대비 피인용 비율(FWCI, Field Weighted Citation Impacts)을 활용하여 측정하고 변수에 가중치를 반영

4) 清华发布《中国AI发展报告2018》:中科院系统AI论文产出全球第一, CBInsight(2019), AI 100:The Artificial Intelligence Startups Redefining Industries 참조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