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 이윤호 원장이 최근 다산 & 영림원 CEO 포럼에서 '미래 대한민국 트렌드와 기업 경영'이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이 원장은 이번 강연에서 앞으로 10년 후 대한민국은 어떻게 변할 것인지를 10개의 트렌드를 들어 전망했다. 이윤호 원장의 발표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1996년에 대한민국이 10년 후 어떻게 변할 것인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 앞으로 10년도 전망하기가 쉽지 않은데 지난 10년에 비해 훨씬 큰 변화가 있을 것이다. 변화의 단초가 되는 10개 트렌드가 있다.
첫째, 저성장 시대의 도래이다.
앞으로 7~8%의 성장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잠재성장률의 구성요소인 노동, 자본 투입이 감소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건에서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늘어나지 않는다면 한국 경제의 성장은 4~5%에 그칠 것이다. 향후 대한민국의 성장은 생산성에 달려있다는 얘기다. 앞으로 1년 동안 '반짝' 고성장할 수도 있지만 그 후유증은 심각할 것이다. 2006년 성장률은 4.9~5.0%, 2007년에는 4.0%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IMF 이후 우리나라의 잠재 성장률은 하향곡선을 그어왔다. 문제는 반전시킬 모멘텀이 없다는 사실이다. 이러다가는 필리핀처럼 될 수도 있다. 그래서 2007년은 매우 중요한 한해이다.
둘째, 서비스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다.
이같은 저성장 시대를 돌파할 수 있는 활로는 서비스업에 달려 있다. GDP에서 차지하는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커지고 있지만 그 비중이 아직은 낮은 수준이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은 서비스 산업이 GDP의 70%대에 이르지만 우리나라는 57.2%에 머물러 있다. 이는 앞으로 발전할 여지가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해서 음식이나 숙박업 등 전통적인 서비스업의 증가만으로는 활로를 열 수 없다. 유통ㆍ물류, 금융ㆍ보험, 법무, 회계, 컨설팅, 엔지니어링, 광고, 디자인 등 지식기반 서비스, 의료, 관광ㆍ여행, 교육, 그리고 베이비시터, 벌초대행, 이혼대행, 명상원, 선ㆍ요가, 전원생활 등 시간 관련 서비스 등 고부가가치의 서비스 산업이 발전해야 한다. 이러한 고급 서비스를 크게 발전시키지 않으면 활로를 찾기 힘들어진다. 요즘 제조기업은 서비스 업체로 변신하고 있다.
셋째, 고령화 등 인구구성의 변화이다.
저출산과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가족 구성은 큰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사회, 경제 등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 것이다. 최근 2~3년 전부터 이러한 현상이 부각되면서 여러 정책이 나오고 있는데 25년 정도 늦게 대처한 것이다. 이를테면 1983년에 출산율은 2,1명에 불과했는데 산아제한 정책을 펴온 것이 단적인 예이다. 그 결과가 지금 드러나고 있는 셈이다. 2005년 출산율이 1.08명에 불과했다. 이런 추세라면 2050년에는 14세 이하 100명당 65세 인구는 416명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노동 인력의 부족 사태를 빚으며, 특히 노후 보장을 둘러싼 세대간의 갈등을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넷째, 글로벌라이제이션이다.
다섯째, 아시아의 위상 강화와 중국ㆍ인도의 부상이다.
여섯째, 디지털 디바이드 현상의 심화이다.
일곱째, 맞춤형 소비 및 생산 시대로의 진입이다.
여덟째, 감성 우위, 문화 중시의 시대의 본격화이다.
아홉째, IT,BT,NT 등 기술이 새로운 세계를 연다.
열째, 지속 가능성(Sustainbility)의 중요성 증대이다. (이 기사 전문은 본지 2007년 1월호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박시현 기자 pcsw@rfidjournalkorea.com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