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RFID기반 항만물류효율화 사업







해양수산부는 부산항을 최첨단의 유비쿼터스 항만으로 전환하기 위한 1단계 'RFID기반의 항만물류효율화사업'을 완료하고, 5월부터 인천, 광양항 등 전 항만을 대상으로 확산하기 위한 2차 사업에 들어갔다. 지난해 추진한 사업의 경우 부산항만 내에 RFID를 도입/적용해 부산항만 생산성을 30% 이상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부가 2004년∼2006년 총 5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 1단계 'RFID기반의 항만효율화사업'은 싸이버로지텍이 맡아 진행했다. 싸이버로지텍은 1단계 사업에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컨테이너 1만 개와 컨테이너 차량 2만대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RFID 리더 220여 대를 컨테이너 터미널 및 부산 주요간선도로 톨게이트 설치/완료했다. 게다가 미국 롱비취 한전터미널 등 해외 주요 3대 항만에 RFID 리더를 설치했다.

김칠호 해수부 정책홍보관리실 정보화팀 사무관은 "이 사업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화물이동을 추적할 수 있게 돼 물류흐름과 '컨'터미널의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뿐만 아니라 현재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한 후 납으로 봉인하던 것을 전자봉인(e-Seal)으로 대체할 수 있어, 미국이 입법추진하고 있는 항만의 보안관리 강화에도 대비할 수 있게 된다"고 이 사업의 의의를 설명했다. 그는 또 "더 나아가 u-PORT시스템 구축은 그동안 계속적으로 지적돼 왔던 높은 물류비의 감소와 항만생산성 증가로 인한 연 840억 원의 항만 매출액 증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또 국내 RFID 적용기술의 활성화로 세계시장에서 RFID 기술 표준화를 선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해수부, 항만효율화 개념도






프로젝트 추진배경

이 프로젝트는 크게 3가지 추진배경을 갖고 있다. RFID/USN 등 첨단 IT기술을 이용한 해운 및 항만 물류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동북아물류중심지국가'라는 국정목표의 효율적 지원이 그 첫째 배경이다. 두번째는 미국의 '항만보안 강화 법안(SAFE Port Act)' 법안 통과에 따른 우리나라 해운·항만 물류분야의 적극적인 대응 차원이다. 세번째 배경은 해외 선진항만의 경우 맞춤형 투자를 통한 경쟁력 우위를 계속 확보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에 상응하는 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1차 사업 진행

해운항만 물류 IT 프로세스에 다년의 경험을 보유한 싸이버로지텍이 1단계 사업을 진행했다. 1단계 사업에서 부산항, 마산항, 울산항 전체 컨테이너 터미널과 미국 한진/현대 컨테이너터미널의 게이트에 900MHz 리더 89대, 433MHz 리더 79대 등의 RFID 인프라를 구축했다. RFID 하드웨어 업체인 케이피씨의 900MHz 차량용 RFID태그 20,000개, 433MHz 컨테이너용 RFID태그 10,000개를 도입해 차량과 컨테이너에 부착해 운영 중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소프트웨어로 GCTS와 터미널 운영 정보시스템(TOS : Terminal Operation System), SP-IDC, Port-MIS 등 RFID 인프라 간 지능형 u-Network가 구축됐다.
이러한 시스템 설치를 통해 싸이버로지텍은 RFID 기반 게이트 자동화를 구현했다. 컨테이너터미널 게이트에 차량/컨테이너 자동인식을 위한 RFID 리더를 설치했으며, 차량과 컨테이너에 각각 태그를 부착했다. TOS와 연계해 정보공유를 구현했으며 운전자에게 SMS 서비스 및 LED전광판을 설치해 정확한 장치장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RFID기반 게이트 자동인식시스템을 구축해 반출입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싸이버로지텍은 RFID 시스템과 GCTS 연계를 통한 물류정보를 연계시켰다. 즉, 차량/컨테이너 정보를 필요로 하는 유관기관시스템과 GCTS간 물류정보를 연계했고, 자산관리, 창고운영 효율화를 위해 화주/포워드/선사/운송사 등에 컨테이너 위치 추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 이 시스템과 컨테이너터미널의 TOS와 연계해 항만운영자동화, 컨테이너 보안서비스를 위한 기반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싸이버로지텍은 터미널 생산성 향상을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 한 곳을 대상으로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구축 및 겐트리크레인과 야드크레인에 RFID 장비를 설치해 타당성을 검토했다.
이 사업의 총책임을 맡은 장윤석 싸이버로지텍 PM은 "거점별 주체의 다양성으로 예외 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고, 관련 공공기관과의 원활한 업무 협조가 아쉬웠다"며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애로사항을 이 같이 말했다.


▲ RFID 기반 항만효율화구축사업의 확산내용






2차 사업 계획

해수부는 1단계 사업 수행을 통해 부산지역 컨테이너 터미널 RFID 인프라 및 GCTS(Global Container Tracking System)를 구축해, 터미널 생산성 향상 및 물류정보 통합 효과를 가져왔다. 2차 사업은 이러한 1단계 사업성과를 기반으로 국내 전 항만으로의 u-물류 네트워크 인프라를 확장하는 것이다. 인천, 평택, 군산, 광양항의 컨테이너 전용터미널 게이트 자동화를 위한 RFID 인프라를 확산 구축하고, GCTS 기능 보완 및 유관 시스템과의 연계로 u-항만물류 정보관리센터를 확장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또 항만 물류 RFID 적용모델에 대한 KS 표준화 지원 등 RFID기술의 국내 항만 물류 분야 도입 및 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여기에 김칠호 사무관은 "현재 컨테이너 보안 관련 ISO의 RFID 표준이 433Mhz 및 2.45Ghz 두 개의 권역대 상정 심의 중"이라며 "신규 국제표준에 대비한 컨테이너 RFID 태그 인식을 위해 1단계 사업에서 설치됐던 433Mhz 리더에 대해 2.45Ghz 인식을 지원하도록 업그레이드를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고 덧붙였다.

프로젝트 기대효과

해수부는 가장 먼저 RFID 기술 기반의 항만물류 효율화를 통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항만 생산성 향상을 통해 동북아 역내의 급증하는 물량을 흡수하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중심 항만인 유비쿼터스 항만을 실현해 국가 경쟁력 제고에 힘을 실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해수부는 또 물류서비스 측면에서 보면 RFID기술을 활용해 화물, 컨테이너, 차량 등의 실시간 위치 추적정보의 가시성 제공을 통한 물류 정보 서비스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해수부에 따르면, 항만 운영 효율화 측면에서는 ▲ 게이트 통과시간 단출을 통한 생산성 향상 ▲ 장치 및 선적 작업 자동 확인으로 터미널 내부 운영 효율성 제고 ▲ 컨테이너 위치 신뢰도 확보로 선적 및 장치 재 계획 감소와 오류로 인한 재처리 시간 감소 ▲ 터미널 내부의 컨테이너 재작업 모니터링을 통한 개선 방안 도출 ▲ 장치 및 선적 작업 오류 사전 예방을 통한 항만 생산성 편차 감소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해수부는 또 RFID 활성화 측면에서는 RFID 표준화 조기 달성 및 확산, 항만 물류를 위한 코드 및 프로토콜 표준화 선도, RFID기반 항만 물류 프로세스 표준 확립 및 정착 등으로 관련 모델의 해외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밖에도 해수부는 RFID를 통한 항만효율화로 약 20%의 화물을 더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경우 약 7조 5천억 원의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한 항만생산성 향상에 의한 항만매출액 향상효과로, 항만 프로세스에 개선을 통해 2004년 물동량 기준으로 연간 840억 원의 물류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항만 물류 효율화 위해 RFID태그 부착 의무화"


김칠호 해수부 정책홍보관리실 정보화팀 사무관

▲ 김칠호 해수부 정책홍보관리실 정보화팀 사무관





해수부는 RFID 기반 항만효율화사업의 2단계 확장사업이 완료되는 2008년부터 한국발 미국향 컨테이너 화물에 대해 RFID 태그 부착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김칠호 사무관은 "이러한 의무사항을 지키는 선사는 하역비를 감면해주고, 그렇지 않은 선사는 하역비 할증이라는 패널티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해수부는 또 5월부터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 태그를 부착하지 않으면 컨테이너 터미널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본사업 기간동안 900MHz 대역의 태그 1만 개를 이미 차량에 부착했고, 앞으로 2만 개를 더 구입해 국내 등록된 3만 5,000대 차량을 커버한다는 계획이다. 김 사무관은 "컨테이너터미널 게이트 차량의 무정차 반출입처리와 운송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관리하려면 이같은 의무사항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 모델의 수출 계획에 대해 "해수부는 이 모델을 브랜드화시켜 해외 항만에 수출할 계획이며, 이 때 이 프로세스 모델에 대한 소유권을 따지지 않고 사업에 참여한 업체에게만 특권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