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MS 세계 시가 총액 1위의 원동력, ‘트리플 A’ : 애자일 / 애저 / AI
김대일 오픈소스컨설팅 애자일 컨설팅 고문 / Head of Agile Transformation
[컴퓨터월드] 20세기에 하드웨어를 대표했던 IT기업이 IBM과 HP, 소프트웨어를 대표했던 IT기업은 마이크로소프트였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계는 1990년대 전 세계 개인용 컴퓨터 운영체계 시장을 독점했고, 지금도 가정용 컴퓨터의 운영체계 점유율 93%로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BASIC 인터프리터 개발 및 판매를 위해 1975년 4월 4일 빌 게이츠와 폴 앨런에 의해 미국 뉴멕시코주 앨버커키에 설립됐다. 그 후 마이크로소프트는 1980년대 중반 MS-DOS로 개인용 컴퓨터 운영체제 시장을 장악했으며, 윈도우가 그 뒤를 이어 세계 시장을 석권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1986년에 기업공개(IPO)를 하며 그에 따른 주가 상승으로 직원 3명이 억만장자, 12,000여명이 백만장자가 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기업 공개 후에도 마이크로소프트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제품을 잇달아 성공시키면서 최고 IT기업을 유지하고 있다.
창업자 빌 게이츠의 자산도 엄청나게 불어나 1995년 이후 전 세계 갑부 순위 최상위권에서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이름을 올렸다. 빌 게이츠는 말 그대로 워렌 버핏과 함께 부호의 대명사가 됐다.
어느 연설회장에 빌 게이츠가 워렌 버핏과 함께 초대됐을 때 사회자가 “빌은 초당 140달러를 벌기 때문에 길거리에 100달러 지폐가 떨어져 있더라도 허리를 굽혀 지폐를 집는 시간이 1초를 넘기 때문에 시간이 아까워 줍지 않는다는 소문이 있는데 정말 그렇냐”고 농담을 하자 빌 게이츠가 우물쭈물하며 대답을 못하니까 옆에 있던 워렌 버핏이 “빌은 모르겠지만 나는 빌보다 가난하기 때문에 줍겠다”고 답해 청중을 웃겼다고 한다. 이렇듯 빌 게이츠는 그의 이름 그대로 돈(Bill)이 들어오는 문(Gates)이 되어 오랫동안 전 세계 최고 갑부 1위 자리를 지켰다.
이렇게 승승장구하던 마이크로소프트가 21세기 들어서면서 서서히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성공에 취해 더 이상의 혁신을 추구하지 않고 현재 상태(Status-Quo)에 안주한 것이 화근이었다. 후에 빌 게이츠에게 인생에 있어서 가장 큰 실수가 무엇이었는지 질문했을 때 그는 구글에게 안드로이드 출시의 기회를 준 것이라고 대답했다.
빌 게이츠의 경쟁자이자 최대 라이벌인 스티브 잡스의 애플이 iOS로 전 세계 스마트폰 OS 시장을 석권한 것은 차치하더라도 스마트폰 OS 시장은 철저한 승자독식의 세계이기 때문에 이미 애플이 그 한 축을 이미 점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오직 하나의 회사만이 애플의 대항마로 대적할 수 있었는데, 빌 게이츠는 자신의 최대 실수가 마이크로소프트가 그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고 구글에게 넘겨준 것이라고 말했다.
21세기가 시작되고 세계 IT 시장은 빌 게이츠의 우려대로 애플이 구축한 앱 생태계와 모바일 세상이 됐다. 이런 새로운 패러다임에 혁신과 전혀 새로운 서비스로 무장한 FAANG(Facebook/Apple/Amazon/Netflix/Google)과 같은 빅테크 회사들은 각자 자기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석권하기 시작했고 전통적 IT기업이었던 IBM, HP, 썬(Sun) 같은 기업들은 시장에서 서서히 빛을 잃어갔다.
마이크로소프트도 21세기에 들어선 이후 2013년까지 10년간 평균 시가총액 3천억 달러로 겨우 명맥을 유지하면서 IT 시장에서 서서히 지는 해가 돼 가고 있었다. 이 시기를 마이크로소프트의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말한다. 빅테크 기업 간 혁신전쟁에서 실패한 결과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잃어버린 10년 동안 CEO를 맡은 사람은 2000년 빌 게이츠가 CEO를 사임하고 새로 부임한 빌 게이츠의 친구인 스티브 발머였다. 사실 그에 대한 평가는 사람들마다 극과 극이다.
혹자는 그를 모바일 시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마이크로소프트를 잃어버린 10년으로 빠트린 장본인이라고 평하는 반면, 어떤 사람은 그 기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를 안정적으로 운영해 회사의 내실을 다진 경영자로 평가하고 있다. 그에 대한 평가가 어떠하든 스티브 발머는 재직 10년 간 경쟁사들이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혁신적으로 대처하는 사이 현상 유지에 주력해 회사의 경쟁력을 떨어뜨린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런 마이크로소프트를 다시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기업으로 변화시킨 사람은 2014년 CEO로 부임한 사티아 나델라이다. 나델라는 마이크로소프트의 3대 CEO로 취임하면서 빠르게 마이크로소프트를 변화시켰다.
그는 가장 먼저 기존의 전통적인 조직을 애자일 조직으로 전환시켜 비즈니스 애자일리티(Business Agility)를 끌어 올렸으며, 그동안 윈도우에 주력하면서 스마트폰과 SNS에서의 기회를 놓쳐 마이크로소프트의 잃어버린 10년을 도래하게 한 윈도우의 우선순위를 과감히 낮추고,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주요 사업인 모바일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최우선으로 둬 마이크로소프트의 포트폴리오를 전면 재구축했다.
애자일 조직 문화 프로세스와 클라우드 비즈니스가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마이크로소프트는 2014년부터 주가가 급등하고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애자일이 도입되면서 항공모함과 같이 움직이기 힘들었던 조직이 쾌속정같이 빠르게 변했다.
급변하는 시장과 고객의 니즈, 그리고 클라우드 시대에 민첩하게 대응해 아마존의 AWS에 대응할 수 있는 MS 애저(Azure)를 성공시킴으로써, 모바일 OS 시장에서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애플의 iOS 대항마가 되도록 만들었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았다.
특히 요즘 가장 뜨거운 화두인 AI 분야에 대해서는 엄청난 투자를 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챗GPT 신드롬을 일으킨 오픈AI(OpenAI)의 지분을 49% 확보함으로써 AI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 외신에 따르면 MS와 오픈AI는 1,000억 달러(한화 약 134조 6,000억 원)를 투자한 스타게이트(Stargate)라고 불리는 프로젝트를 통해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AI 전용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런 마이크로소프트의 혁신과 개혁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2013년까지 평균 3천억 달러였던 시가총액을 2019년에는 1조 달러로 끌어올렸고, 2021년에는 2조 달러로 만들었으며, 드디어 2023년 말부터 시가 총액 3조 달러를 넘겼다. 2024년 5월 현재 전 세계 모든 기업 중 유일하게 시가총액 3조 달러를 유지하면서 오랜 기간 세계 시가 총액 1위를 굳건히 지켰던 혁신이 떨어진 애플을 2위로 밀어내고 세계 시가총액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렇듯 MS를 세계 시가 총액 1위 회사로 탈바꿈시킨 원동력은 MS의 애자일(Agile), 애저(Azure), AI로 대변되는 트리플(Triple) A 전략이다. 애자일 전환으로 애자일 조직과 문화를 정착시켜 비즈니스 애자일리티(Business Agility)를 확보하고, 애자일 원칙에 근거한 고객 중심의 애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애자일이 추구하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혁신적인 도전과 실험을 통한 AI 생태계를 리드해 명실상부한 세계 제1의 기업이 됐다.
이제 마이크로소프트는 IT업계의 지는 해에서 세계 시가 총액 1위의 기업으로 다시 옛 영광을 재현하고 있다. 그러나 트리플(Triple) A 전략으로 잃어버린 10년을 르네상스 10년으로 바꾸는 데 성공한 마이크로소프트가 계속 르네상스를 이어갈지 또 한 번의 잃어버린 10년을 맞이하게 될 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혁신과 상상하지도 못하는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자리를 빼앗기 위해 호시탐탐 노리는 빅테크가 전 세계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