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 국가체제는 P2P협치로 진화, 사회는 글로벌 디지털 공동체화

[컴퓨터월드]


▲ 금용찬 지엔씨솔루션 대표이사

 


1. 프롤로그
2. 사회구조 – ‘초연결의 하나되는 세계’ 지배·영리·수혜의 역할분담
3. 산업구조 - 융합과 연계에 의한 MATRIX, 그리고 창조산업
4. 지배구조 - 국가체제는 P2P협치로 진화, 사회는 글로벌 디지털 공동체의 가족화
5. 세계구조 - 세계는 자유무역·왕래, 정보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디지털 세상
6. 디지털인류 - 디지털 신인류 출현, 온오프라인 융합 공동체의 가치와 그 주역 Korean
7. 디지털문화 – ‘세계가 하나로’의 과제와 ‘창조적(Creative)’ 금단의 사과
8. 과학기술 – 창조경제 디지털경제의 일환, 과학기술의 융합과 디지털문명은 동전의 양면
9. 실세상 – 문명형과 문화형의 이원적 진화
10. 사이버세상 - 디지털 문화가 꽃피는 사이버 세상 ‘사이버대륙’의 생성
11. 디지털문명 -과학기술의 발달과 융?복합 변화로 ‘디지털문명기’ 도래
12. 변화의 이해와 대응


디지털문명의 국가체제는 지역간 협치로 진화하여 디지털 플랫폼에 의한 서비스 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사회는 문화와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고 글로벌 디지털 공동체화 된다.
 


▲ 창조경제 논의의 틀 : 지배구조

 

중앙정부의 통치에서 지방분권화로, 궁극적으로 지역간 협치로 발전하게 된다. 지역간 협치는 디지털 플랫폼이 기반이 된다. 협치의 가장 중요한 기반은 플랫폼에 의한 정보의 연계와 소통이다. 빅데이터(Big data)가 논점이 되는 것은 그런 관점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빅데이터의 활용은 아직 갈 길이 멀며 국가의 서비스 플랫폼으로의 역할은 미지수이다.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에 의한 디지털 문화를 담아낼 수 있는 ICT기반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

새시대의 기준 “디지털 노멀 (Digital Normal)”

하나는 어떤 것에 든 연결될 수 있다(OCTA, One Connected To Anyone). 하나가 어떤 것에든 연결될 수 있다는 사실은 원자시대의 모든 것을 송두리째 혹은 반대방향으로 바꾸어 놓고 있다. OCTA는 새로운 시대의 디지털 규범이다.

 


▲ 디지털 규범(Digital Norm) OCTA

 

인간사회는 많은 장벽을 허물고 새로 쌓으면서 발전해 왔다. 국가, 가족, 종교, 단체, 혈연, 지연, 학연 등 어떤 형태의 공동체에 소속되어 존재하고 생존해 왔다.

컴퓨팅과 인터넷의 연결에 의하여 탄생한 초연결사회 디지털문명은 이러한 장벽을 초월하여 하나는 어떤 것이든 연결될 수 있다(One Connected To Anyone). 디지털문명기 인류사회는 OCTA라는 규범 위에 새로운 기준(New Normal) 즉, 디지털 기준(Digital Normal)에 따라 흘러가는 새로운 사회이다.

인류가 불과 직립보행, 언어의 형성으로 사회를 성공적으로 구성하고 종족보존의 본능으로 역사를 만들어 왔다면, 이제는 디지털기준(Digital Normal)의 이해와 체득으로 사회의 일원이 되어야 생존가능한 디지털문명기이다.
 

 


▲ 디지털 기준(Digital Normal) 논의

 


▲ 대표적인 디지털 기준

 

대표적인 디지털 기준을 나열한다. 이 디지털 기준의 논의는 시작이다. 
 
동배간(Peer to peer) 상호작용으로 변화

컴퓨팅 환경은 Host/Slave → Client/Server → Peer to Peer(동배간 처리)로 발달하여 간다. 현실의 컴퓨팅 환경 또한 개인용컴퓨터가 보급된지 불과 30여 년 만에 동배간 처리의 수준에 이르고 있다. 

 


▲ 컴퓨팅 환경의 변화

 

자본주의 사회의 주체인 영리조직의 구조 역시 상하구조·매트릭스형 과도 조직에서 현재 네트워크형 조직이 가장 효율적인 조직으로 살아남아 성장하였다. 기업 내에서는 책임과 권한을 가진 단위조직과 전체적으로는 지주회사 구조의 네트워크 조직이 글로벌 가치사슬(Value Chain)을 지배해 가고 있다. 네트워크형 기업의 하부조직은 사회적 가치와 도덕성 보다 자체생존을 위한 수익을 위하여 선악의 구분이 없는 지능화(Intelligence)된 수법으로 탐욕스럽게 사회를 먹어 치우고 있다. 최근에 정부는 네트워크형 조직의 성과관리 “BSC(balanced Scorecard)”를 도입하여 공무원사회의 왜곡을 초래하였다. 성과관리를 도입하여 효율적이고 가벼운 정부를 만들어 보겠다는 순진한 생각이 또 한번의 “선의의 악행”을 자행하였다. 가야 할 방향이지만 맞지 않는 옷의 섣부른 적용에 의한 부작용은 사회적 손실이 될 것이다.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는 조직은 처음부터 네트워크 구조를 띤다. 
 


▲ 조직 구조의 변화

 

중앙정부의 통치기를 지나 지방분권화에 이어 지역간 협치와 사회구조는 디지털 공동체로 구성되어 가고 있다. 협치의 범위는 필연적으로 글로벌 국가간의 ICT기반 시스템과 네트워킹에 의한 연계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국가 사회 구조의 변화

 

초국가적 협치 대응의 과제

실세상에서 디지털 세상으로의 연결과 융합의 변화에 따라 국가는 초 국가적 협치 대응의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FTA, Safetyframework, 교토의정서, 다보스포럼 등 요동치며 변화되어 가는 세계구조는 인류가 이러한 과제를 풀어가는 과정들이다. 이 글에서는 협치 대응의 과제의 방향을 제시한다. 

 


▲ 협치대응의 과제

 

협치와 디지털 공동체로 가는 미래사회에서 개개인이 갖추어야할 도구는 글로벌 언어와 문화의 이해와 습득이다. 그 위에 국제사회의 변화를 이해하는 융합적 지식의 습득 노력(Know-how)과 글로벌 연계에 의한 교류와 소통의 노력(Know-where)을 부단히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