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디지털 기준 – 인류는 “디지털 기준(Digital Normal)”으로 새로운 문명을 세워가야 한다.

▲ 금용찬 지엔씨솔루션 대표이사/'세계화' 연구진
[컴퓨터월드]
1.Prologue
2.사회구조 - “초연결의 하나되는 세계” 지배∙영리∙수혜의 역할분담
3.산업구조 – 연결과 확장에 의한 MATRIX화, 그리고 창의산업과 서비스
4.지배구조 - 국가체제는 P2P협치로 진화, 사회는 글로벌 디지털 공동체화
5.세계구조 - 세계는 자유무역∙왕래, 비트(bit)로 연결된 하나의 디지털 세상
6.인간의삶 - 디지털 신인류, 온오프라인 융합 공동체의 형성
7.디지털문화 – 창조(Creative)의 위험과 “세계가 하나로”의 과제
8.과학기술융합 – 디지털전환의 4가지 변화
9.실세상의변화 – 디지털 초연결 “글로벌 권력과 부의 재편”
10.디지털기준- 인류는 “디지털 기준”으로 새로운 문명을 세워가야 한다.
11.디지털문명 -과학기술의 발달과 융∙복합 변화로 “디지털문명기” 도래
12.변화의 이해와 대응

“새롭다”는 것은 없던 것이 새롭게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있던 것에 더하여 새롭게 느껴지는 무엇인가의 느낌, 인식, 실물의 출현이다. 거대하고 새로운 것 같지만 늘 있어왔던 디지털 변화는 아무도 경험하지 못한 길이며, 모든 것을 새롭게 하고 인류는 역사시대에 기록해 왔던 모든 것들을 다시 정립하고 정리해야 하는 혼란에 직면해 있다. 둘인 것 같지만 하나인 이 변화의 방향을 “디지털 기준(Digital Normal)”으로 정리한다.

▲ 창조경제 논의의 틀 – 디지털 기준


점유에 더해지는 실재
원자로 이루어진 세상이 점유로 이루어져 있다면 비트로 된 디지털 세상은 실재함으로 나타난다. 원자의 점유 기반에서 과학기술이 접목된 비트로 된 실재를 더하여 모든 것은 재편되고 있다. 미래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인식의 확장과 그 인식에 따른 행동이 필요하다.

 

디지털 변환의 특성
디지털 세상의 형성, 과도기 인간의 일상은 두 개의 세상에서 공존한다. 앞에서 일상을 둘러싸고 있는 세상의 변환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네 가지 변환은 원자와 비트 세상에서 각각 상이한 특성을 보이며 이런 양쪽의 특성의 이해와 균형적 실천이 요구되는 인간의 삶은 자칫 정신적으로 고달파 질 수 있다. “하나만 선택할 수는 없을까? 일시적 제한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럴 것 같지 않다.”

▲ 두 가지 세상의 특성


-컴퓨터화와 연결: 실세상은 물질/크기의 소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컴퓨터화되고 연결되는” 디지털세상은 실세상의 실물간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공간의 크기를 가진다.

-업무와 정보흐름의 변화: 제한된 영역의 검증되고 계층화된 실세상의 정보와 지식은 ‘업무와 정보흐름의 변화’의 영역에서 거대한 연결된 환경을 구성하고 커진다.

-디지털 생활의 변화: 지역이라는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은 ‘디지털 생활의 변화’를 맞아 24시간 7일내내, 하나로 연결된 플랫폼 위에서 끊임없이 활동들이 일어난다.

-디지털 제조의 변화: 재료와 종자를 구매하고 제품을 재배하거나 만들고 판매하는 실세상의 시간과 공간의 소모가 일어나는 활동들은 ‘디지털 제조의 변화’를 맞아 재료의 구성, 디자인과 인쇄, 대화를 통한 교환(부분적 판매)의 특성을 띤다.

디지털 기준 (Digital Normal)
실세상과 디지털세상의 상이한 특성은 전혀 다른 기준(Normal)을 성립시킨다. “하나는 어떤 것에도 빛의 속도로 연결될 수 있다”는 디지털 규범(Digital Norm)하에 디지털 기준은 미래사회 형성의 기본 원칙이다.

지금까지 배우고 익힌 모든 것들이 점점 힘을 잃고 맞지 않고 사라져간다는 생경한 느낌은 누구나 느끼고 있다. 디지털세상 속에서 태어난 세대는 실세상의 기준을 체득하고 배우고 살아온 세대의 이야기가 전혀 이해가 되지 않고 심지어 모두 틀리다고 느낀다. 이 변화는 누구의 잘못도 아니며 틀린 것도 아니다. 새로운 것이 더해져 모든 것이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 디지털 기준(Digital Normal)

-존재(Exist) vs. 실재(Presence): 존재(Exist)에 대한 생각(고민)은 철학과 종교를 낳았지만 인간은 거의 모든 병과 자연을 극복하고 신체를 바꿔 끼울 수 있을 정도의 발전을 통하여 평균수명이 거의 90세에 육박하는 시대가 되며 고민 보다는 즐거움과 선택의 실재(Presence)하게 되었다. 물질 또한 시공간의 제약에 따라 제한적인 존재에 머물렀으나 생각에 따라 무엇인가가 만들어지는 실재의 시대, 디지털 산업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공간(Atomic) vs. 데이터(Bitted): 산업시대는 공간(Atomic)을 점유한 물질(물건)의 생산성의 향상과 그에 따른 유래 없는 인류사회는 물질적 풍요함을 경험하고 있다. 디지털 세상은 데이터 (Bitted)화된 어떤 것이 정신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물질은 기본적인 재료만 있으면 만들어지고 사용된다.

-생활(Live) vs. 대화(Conversation): 인간생활(Live)의 기본은 의, 식, 주였으며 문명의 발달은 의, 식, 주의 혁명적 발전으로 이어지고 이제는 그에 더하여 연결된 세상의 대화(Conversation)로 살아가게 되었다. 생존의 고민이 사라지면 외로움이 다가온다. 상대를 찾아 대화를 하지 못하면 이제 사회의 구성원이 아니다.

-더 나은 것(Something good) vs. 연결된 거대한 것(Networked big): 나에게 이득이 되는 더 나은 것(Something good)을 구하는 실세상에서 연결된 거대한 것(Networked big) 속에서 필요한 것을 구해야 한다.

-인간관계(Human relation) vs. 시스템과 통계(System, statistics): 사람 사이의 관계(Human relation)로 이루어지는 사회는 이제 시스템(System)과 통계(Statistics)로 구성되고 있다.

-규칙(Rule) vs. 플랫폼(Platform): 사회와 조직의 규칙(Rule)으로 인간사회가 성립하고 운영되어 왔으나 이제 플랫폼(Platform)은 인간을 담고 자체로 연결된 거대사회를 이루고 있다.

디지털 문명에서 살아가려면 디지털 기준(Digital Normal)의 해석과 자기 삶에의 적용이 필요하다.

디지털 변환 사례(스마트폰 App)
앱은 단순하게 스마트폰에서 작동하는 유용한 기능으로 개인은 인식하지만 실제로 앱은 기능에 따라 맵, GPS위치, 빅데이터(회원, 고객, 정보 등)와 같은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계한 디지털 시설(Digital Facility)을 기반으로 한다. 앱은 인간생활, 실물의 거래와 이동을 통합하고 거래를 담당할 것이다.

앱은 거래데이터를 저장하고 고객과 스마트폰으로 대화하고 지도와 같은 연결된 거대한 시스템 기반에서 운용되는 생활서비스의 거래 플랫폼으로 나타나고 있다.

▲ 앱(App)의 역할

우버앱(Uber)은 자기위치에서 택시를 부를 수 있는 스마트폰앱이다. 2014년 런던과 유럽에서는 우버에 반대한 택시들의 시위가 이어지고 한국의 서울시는 억지스러운 핑계로 우버를 고발한 상태이다. 유럽에서는 택시정책을 주관하는 기관이 법원에 판결을 의뢰한 상태이지만 현재의 법으로는 우버가 질 것 같지 않다.
아이러니하게도 시위가 이어지며 우버 가입자가 폭증하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으로 이루어지는 택시라는 제도보다 우버가 먹여살리는 운전자의 수가 훨씬 많을 수 있다. 전세계 약 40개 도시로 사업을 확장하고 우버는 전세계의 택시 산업을 재편할 수 있다.
2014년 “모든 사람의 개인운전자”에서 “생활이 물류를 만날 때”로 회사 꼬리표를 바꾸었다. 궁극적인 우버의 목적은 글로벌 물류와 교통을 지배하는 빅브라더이다.
분절화된 규제와 단견으로 딴지만 거는 한국의 정책, 소프트웨어를 아무리 가르쳐봐야 우버와 같은 산업이 태동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 디지털 세계속의 후진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

디지털기준이 지켜지는 개인의 인식과 활동, 기업의 방향, 국가의 정책과 실행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