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시황의 꿈에 도전하는 중국의 ‘iCarbonX’

▲ 유재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산업제도연구실선임연구원

[컴퓨터월드] 기술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업들의 흥망성쇠 주기도 이에 비례해 빨라지고 있다. 창업 10년 미만의 기업이 시장의 패권을 차지하기도 하고, 영원할 것처럼 여겨졌던 세계적인 기업이 신생 기업의 먹잇감이 되기도 한다. ‘SW가 세상을 먹어치우고’, ‘모든 기업이 SW기업’으로 변신하는 디지털 전환의 격변기에 기업의 디지털 DNA를 강화시켜 1조 원 이상의 가치를 갖는 유니콘 기업이 된 스타트업들이 10여년 사이에 여러 국가에서 출현했다.

본지는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우리 기업들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각 분야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을 소개하는 난을 마련했다. ‘유니콘 기업으로 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이라는 주제의 유재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경영학 박사)의 글을 1년 동안 연재한다. 이번 강좌가 우리나라 유니콘 기업 탄생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편집자 주>
 

유재흥 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원 경영학 박사로 소프트웨어 산업 생태계, 혁신 기업 성장 전략, 신기술 확산 전략 등에 대해 연구활동을 해왔다. ‘제4차 산업혁명과 산업의 디지털 전환 연구’, ‘트럼프 정부 출범이 국내 SW 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보고서와 ‘실체 있는 제4차 산업혁명 : 사회현안해결형 공공SW사업으로!’ 등의 칼럼을 다수 게재했다.

1. 유니콘의 시대 : 유니콘 기업,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열다! (1월호)
2. (드론) DJI Innovation: 미국을 추월한 드론 산업의 선두 주자 (2월호) 
3. (헬스케어) iCarbonX : 디지털 헬쓰케어, 중국의료를 혁신하다 (이번호)
4. (핀테크) Lu.com: 글로벌로 성장하는 중국 P2P 대출 기업 
5. (VR/AR) Magic Leap : 가상시대를 열다! 
6. (빅데이터/AI) Palantir Technologies: 세상에서 가장 수상한 스타트업 
7. (온라인 게임) Unity Technologies: 게임산업의 엔진 
8. (전자상거래) Flipkart : 인도의 아마존 
9. (항공우주) SpaceX : 우주 여행 시대를 열 것인가 
10. (부동산) WeWork : 오프라인 공간의 재탄생 
11. 한국은 왜 유니콘이 나오지 못할까?


진시황의 오랜 꿈을 이루고자 하는 스타트업이 등장했다. 1975년생 준왕(Jun Wang)이 2015년 10월에 설립한 iCarbonX는 설립 6개월만에 글로벌 유니콘으로 부상했다. 세계적으로도 이렇게 단 기간에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이번 호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새롭게 부상하는 디지털 정밀의료 시장에서의 iCarbonX의 성장 과정을 살펴본다.


지능정보기술로 변화하는 의료시장

기원전 221년 중국을 통일시킨 진시황은 이후 영원불멸의 삶을 꿈꾸며 ‘불로초’를 찾기 위해 사방으로 사람들을 보낸다. 장수는 인류 보편적인 관심사요 가장 오래된 소망이다. 획기적인 의약품의 발명과 다양한 치료법의 등장은 수명 연장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인간 수명이 최대 115년을 넘지 못할 것이라는 네이처 논문의 발표를 두고 150년까지 연장될 것이라는 반론이 제기되면서 유명 학자들 사이에서 내기가 이뤄지기도 했다1).

한편으로는 육체의 부활을 꿈꾸며 시신을 냉동 기탁하거나, 구글의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이 예견한 것처럼 뇌를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업로딩(uploading)하여 새로운 인류로 재탄생하는 것을 꿈꾸기도 한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로 인간 유전체의 비밀이 풀리고, 유전자 가위 기술을 통해 유전적 질병을 원천 차단하려 시도하고 있다.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와 3D 프린팅을 통한 인공장기 배양 등의 기술은 인간의 수명을 더욱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의료, 제약, 운동 처방 등을 통한 건강 증진과 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한 의료 처방과 요법에 대해 환자의 정확한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맞춤화’ 기술이다. 이른바 개인의 유전정보 생활습관 등 환자의 다양한 정보를 토대로 각자 몸에 맞는 치료를 제공하는 정밀의료가 핵심이라 하겠다.

▲ 출처: 정밀의료 개념도2)


정밀의료의 신흥강자 iCarbonX를 만든 창업가의 힘

iCarbonX는 이러한 정밀의료에 도전하는 중국의 스타트업이다. iCarbonX가 주목 받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창업가 준 왕 때문이다. 준 왕은 1993년 북경대학에 입학한 후 인공지능, 전산학, 생명정보학을 차례로 공부했다. 그리고 1999년 중국이 세계 최대 유전자 분석기관인 BGI(Bejing Genome Institute)를 설립할 때 참여하게 된다.

BGI는 중국 정부가 1조 원을 투자하여 만든 중국 과학원 산하 연구기관으로 2007년 정부로부터 독립해 민간회사가 되었고 연구소장이었던 준 왕은 BGI의 CEO가 된다. 2010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가 BGI의 선전 연구소를 방문하는데 이때 유전체 연구의 중요성을 공감한 빌게이츠 재단과 파트너십을 맺고 쌀 게놈 염기 서열, 암 게놈 프로젝트 등의 연구를 진행한다.

분야 세계 최고 과학자로서 BGI에서의 연구와 동시에 조직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정부의 간섭이 없이 순수한 민간 연구소를 운영하고 싶었던 준 왕은 2015년 10월 iCarbonX를 설립한다. 그리고 사람들의 건강관리와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인공지능기반의 플랫폼 개발을 일차적 목표로 내세운다. 창업 6개월 만에 텐센트로부터 2억 달러를 투자받는 등 2016년 4월 기준으로 기업 가치 1조 원을 돌파하면서 유니콘 기업이 되었다.


디지털 의료 혁신 생태계의 선도적 구축

우리는 iCarbonX의 설립 후 행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16년 9월 iCarbonX는 이미지분석 기술을 보유한 이스라엘 스타트업 Imagu Vision Technology 社를 전격 인수한다. Imagu 社는 이미지 해석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술을 보유한 회사로 의료, 반도체, 국방,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관련 기술을 활용해 왔으며 다양하고 복잡한 이미지에 대한 정확한 인식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2017년 1월에는 미국의 PatientsLikeMe라는 환자들이 자발적으로 의료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1억 달러를 투자한다. 환자와의 유전체 정보와 결합한 유전 심리학 연구를 강화하기 위한 투자였다. 또 같은 시기 박테리아 연구와 미생물의 유전정보 연구를 목적으로는 하는 AOBime에 3천만 달러를 투자한다.

준 왕은 투자의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iCarbonX와 AOBiome은 모든 개인이 자신의 건강을 철저히 관리하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사명을 공유합니다. AOB 플랫폼은 진정한 맞춤형 의약품의 돌파구입니다. 생명 공학의 혁신적인 작업은 iCarbonX의 핵심 가치이기도 합니다.”

또한 환자가 제공한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가지고 있는 HealthLoop에 840만 달러를 투자한다. HealthLoop는 궁극적으로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작용을 자동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SomaLogic이란 단백질 분석 전문 회사에 2억 달러를 투자했고, 중국에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은 생물학, 행동데이터, 심리데이터를 결합해 정확한 ‘디지털 라이프’를 정의하고자 하는 iCarbonX의 궁극적 목표를 이루기 위함이다. 2017년 10월 준왕은 Digital Life Alliance를 결성하여 인간 게놈 정보뿐만 아니라 환자의 다양한 건강 정보를 신속하고 빠르게 확보, 분석할 수 있는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유전 심리학, 행동학, 유전체, 단백체, 대사체, 재조합효소, 박테리아, 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수집분야 등에서 비교우위기술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곳으로 전략적* 투자*HealthTell(의료,데이터수집), SomaLogic(단백체), Robustnique(재조합효소), PatientsLikeMe(유전체, 유전심리학), AOBiome(박테리아), GALT(단백체, 대사체)

iCarbonX는 각 분야에서 탁월한 기술력과 데이터를 상호 연결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만드는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준 왕은Google(Deepmind Health), IBM (Dr.Watson) 등과 이미 디지털 의료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지만 디지털 생태계를 통해 훨씬 저렴하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의 내수 시장과 iCarbonX의 잠재력

iCarbonX의 잠재력이 높다고 평가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중국의 모바일 의료 시장의 성장이 기대된다는 점이다. 중국 정부가 2011년에 발표한 12.5계획에는 2020년까지 의료, 제약 및 생명 공학 분야를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돼 있다. 낙후된 의료 분야에 다양한 민간 기업의 참여를 유도해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고 60세 이상의 노인 증가에 따른 국가적 의료비 증가에도 혁신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다양한 의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중국의 모바일 의료 시장은 2011년 15.8억 위안에서 2017년 115.4억 위안 규모로 성장하고 이용자도 2011년 2900만 명 수준에서 2015년 1억 3,800만 명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6억 명 이상을 유치하고 있는 텐센트가 2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를 한 배경도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텐센트와의 제휴는 개인의 생체정보(유전체) 분석에 탁월한 기술력을 확보한 iCarbonX가 개인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로부터 행동 정보, 심리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유전자 변이와 질병 발병 사이의 상관관계를 찾기 위해서는 최소 100만 명 이상의 코호트 집단(Cohort)3)이 필요한데, 이에 필요한 데이터 확보 방법으로 텐센트와 아이카본엑스의 협력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iCarbonX는 뚜렷한 수익 모델이 없어 수익이 나지 않는 상황에서 수천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는 오로지 향후 잠재력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반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중국은 세계 최대 인구 국가로 인구가 많을수록 훨씬 풍부한 정보를 얻고 분석에 따른 비용을 규모의 경제를 통해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중국은 실제로 2015년 기준으로 세계 유전자 데이터의 2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iCarbonX는 현재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건강관리 플랫폼 개념을 담은 초기서비스로서 모바일 앱서비스인 Meum을 출시했는데 이는 미국의 PaitentsLikeMe 社와의 연계를 통해 미국 내에서 제공된다. 서비스는 이용자들이 Meum앱에 섭취한 음식이나 운동에 대한 정보와 함께 신체 정보와 생체 신호를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입력된 정보를 유전자 정보 및 생체 정보와 함께 분석한 후, 앱 화면에 건강 및 질병에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고 필요한 조치를 추천해 주는 서비스로 구성된다.


환자 자발적 공유 의료 정보 확보로 제도적 제약 극복

세계 각국 및 기업은 다양한 개인 의료 정보를 활용한 정밀 의료 산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보고 투자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 의료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코호트 집단을 구축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 개인정보와 의료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규제가 까다로운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환자가 동의한 정보 수집과 분석은 무방하다. 미국의 PatientsLikeMe는 환자가 스스로 자신의 질병 정보와 처방정보, 심리 정보를 입력해 커뮤니티 회원 간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더 나은 치료 방법을 찾는 플랫폼이다. 여기에서 맞춤형 정밀 의료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대중적인 처방 방식을 적용한 처방 보다 자신에게 가장 잘 받는 처방을 스스로 찾아가면서 그 방식을 공유하는 것이다. 일종의 의료 정보 공유에 특화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텐센트의 6억 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의료 정보 공유 서비스를 만들고 거기에 iCarbonX의 유전체 분석 기술, 심리정보, 행동정보 분석과 각종 맞춤형 진료 방식이 결합된다면 그 파급효과는 굉장할 것이다.

▲ PatientLikeMe의 이용자 프로파일 예시4)


시사점

iCarbonX는 건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플랫폼 기업, 디지털 라이프 회사, 인공지능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등 다양하게 불린다. 이는 준 왕이 말하는 “iCarbonX want to create a future in which people can drive their own health and defeat disease with advanced data and AI”라는 회사의 사명과 크게 다르지 않다. iCarbonX는 현재 100만 명의 사용자와 연결되어 있다. 개인마다 독특한 유전적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어떻게 확보하고 분석할까 하는 부분에서는 의료정보 수집과 활용의 제약이라는 규제에 상당부분 가로 막혀 있다. 민간기업이 쉽게 도전하지 못하는 제도적 진입 장벽이다. iCarbonX는 그러나 환자들에게는 자발적 정보 제공의 동기가 있다는 면에 집중했다. 자신의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고, 또 스스로 발견하는 유용한 정보는 다른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서 이타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을 포착한 것이다. 실제로 PatientsLikeMe라는 커뮤니티에서 확인하고 이 기업에 지분을 투자하고 앱을 통해 Digital Me라는 서비스를 공동 제공하고 있다.

▲ iCarbonX가 추구하는 DigitalMe5)

핵심이 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면 경쟁력의 원천은 기술력으로 옮겨 간다. 생물학적 정보, 소셜 네트워킹 정보, 환자의 감정 상태를 표현하는 다양한 텍스트 정보를 연결하고 분석하여 건강과 관련된 최적의 처방 서비스를 만들어 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솔루션들을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다시 결합하여 최적화시켜 나간다. 지금은 단순한 운동, 수면 정보 등 생활 패턴에 대한 건강 컨설팅이지만 개인의 질병 정보, 의료 정보, 유전체 정보 등과 결합되면 맞춤형 약물, 치료 방법, 발병 예측, 보험 등과 연계된 다양한 의료 관련 서비스로 확장 가능하다.

iCarbonX는 다른 기업보다 한 발 앞서 이를 위한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투자금으로 기술 회사를 인수하는 한편, 직접 관련 기업의 지분 획득을 통해 적극적 파트너십을 확보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메신저 업체인 텐센트와의 제휴는 개개인의 디지털 라이프를 모니터링하고 선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해 주었다. iCarbonX가 진시황이 찾고자 했던 불로초를 디지털 기술을 통해 스스로 만들어 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 매일경제(2018. 2. 25), 인류는 150살까지 살 수 있다 vs 없다 뜨거운 논쟁,
2) 나라경제 2016 November (개인맞춤형 의료시대 열려, 명확한 데이터 확보전략 필요)
3) 어떤 특성(연령, 질병 등) 을 공유하고 있어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집단
4) PatientsLikeMe 홈페이지
5) PatientsLikeMe 홈페이지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