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데이터 인증 획득 기관 중 84%가 품질 인증
명확한 데이터 거버넌스 마련해 지속적인 품질 확보 수단 마련해야

[컴퓨터월드] 오늘날 전 세계 모든 조직들은 데이터를 활용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제대로 된 결과값을 얻기 위한 올바른 데이터의 확보가 조직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잡았다.

국내에서도 공공과 민간을 가리지 않고 올바른 데이터 확보를 위한 프로세스가 갖춰지고 있다.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거버넌스를 정립하거나,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해 접근제어·암호화 솔루션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데이터 관리 체계를 새롭게 다잡고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국내 조직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데이터 품질 부문으로 보인다. 데이터 품질이란 쉽게 말해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한지’를 의미한다. 수치적으로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히 맞아떨어지는지, 그리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업무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제대로 된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수치다.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올바른 데이터 확보가 필수조건이라면, 이 ‘올바른 데이터’를 정의하는 것이 데이터 품질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운영하고 있는 데이터 인증 제도를 살펴보면 데이터 품질에 대한 높은 관심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는 데이터 품질/관리/보안 등 3개 분야의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데이터 품질 인증에 가장 많은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2020년 10월까지 총 233개 데이터 인증 사례 중 175개(75.1%)가 품질 인증에 집중돼 있었다. 관리 인증은 32개(13.7%), 보안 인증은 26개(11.2%)에 그쳤다. 집계 범위를 좁혀 2020년 한 해를 따져보면 편중은 더욱 심해져, 지난달까지 총 25개 사례 중 품질 인증은 21개(84%), 관리 인증은 3개(12%), 보안 인증은 1개(4%)로 나타났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공인 데이터 인증 심사기관 목록. 관리 인증과 보안 인증 심사기관은 한정돼 있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공인 데이터 인증 심사기관 목록. 관리 인증과 보안 인증 심사기관은 한정돼 있다.

데이터 인증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기관과 심사원들 역시 품질 인증에 편중돼 있다. 현재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으로부터 공인된 데이터 인증 심사기관은 총 9개다. 하지만 관리 인증 심사는 비투엔·미래정보기술원·엔코아 등 3개 기관이, 보안 인증 심사는 엔코아 단 1개 기관만이 수행한다. 품질 인증 심사는 9개 기관 모두가 수행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심사원 역시 마찬가지로, 총 280여 명의 심사원 중 관리 인증과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심사원은 각각 30명, 10명 내외에 불과하다. 이처럼 다른 인증 제도보다 데이터 품질 인증에 수요와 공급이 집중되는 것은 그만큼 데이터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대해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관계자는 “최근에는 데이터 품질 인증을 통해 기관의 데이터 품질 우수성을 알리는 한편, 내부적인 데이터 품질관리 조직의 성과를 객관적인 지표로 확인하는 추세”라며, “특히 공공기관에서 빅데이터 운영·관리 플랫폼 등의 사업을 발주하면서 데이터 인증 획득을 요구사항에 추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인증 심사기관 A사 관계자는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데이터를 갖추는 게 필수조건이기 때문에, 데이터 품질은 데이터 활용성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어 수요가 집중되는 것 같다”며, “무작정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서비스와 플랫폼을 만들기보다 먼저 우수한 품질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국내 데이터 관련 기업들은 데이터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무엇보다 데이터 관리정책,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명확한 데이터 거버넌스가 확보되면 조직 내에서 데이터의 수집·저장·활용·분석 등에 이르는 라이프 사이클 전체에 일관된 기준과 표준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 품질을 높이고 활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조직에서는 ‘데이터를 잘 관리하고 사용하라’는 불명확한 지침이 아닌, 모든 직원들이 공통적으로 업무 프로세스에 적용하고 참조할 수 있는 관리 규정,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를 다잡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