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 SaaS 우선 도입 첫발, ‘SW제값받기’ 실현 도구 역할 기대

[컴퓨터월드] 글로벌 소프트웨어(SW) 산업의 패러다임은 현재 SaaS(Software as a Service), 즉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형 SW로 넘어갔다. SW의 판매와 유통, 유지관리 작업이 단순화되는 동시에 개발과 의사결정은 더욱 빠르고 간결해질 것을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SW기업들의 다수가 여전히 SW구축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기존 상용 패키지SW 판매에 머물러 있다는 게 문제다. 급변하는 글로벌 SW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서 살아남으려면 이제 SaaS 전환은 반드시 고민해야 한다.

얼마 전 마이크로소프트(MS)는 클라우드 기반의 사무용SW ‘오피스365’의 구독료를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발표와 함께 MS의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다. 이는 물론 MS 오피스365가 갖는 강력하고 독점적인 지위 덕분이기도 하지만, 일단 기반을 갖춘 SaaS가 얼마나 기업의 전망을 밝게 하는지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물론 국내 기업들도 빠르게 SaaS 전환을 시도한 기업들이 있다. 네이버나 KT 등 대기업부터 NHN, 더존비즈온, 인프라닉스, 이즈파크, 크리니티 등 중견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분야별로 다양하다.

이 같은 추세에 발맞추고자 최근 공공부문도 민간 SaaS 활용을 명시했다. 정부는 2025년까지 8,600억 원을 투입해 공공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할 계획인데, 우선 하드웨어 인프라(IaaS) 전환에 예산이 집중돼있긴 하지만 가능한 부문에서 SaaS도 우선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SaaS 활용 본격화와 함께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을 통한 SaaS 기업 육성 및 해외진출 지원도 추진하고 있다. NIPA는 이미 몇 년째 글로벌 SaaS 육성 프로젝트(GSIP)를 진행해오고 있으며, 한국SW산업협회도 올해 6월 SaaS추진협의회를 출범시키고 본격적으로 회원사의 SaaS 전환을 위한 각종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SW기업들은 무엇보다 국내 업계가 수십 년간 목놓아 외친 ‘SW제값받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게 SaaS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시스템통합(SI)으로 불리는 용역구축 방식 아래에서 만연했던 △저가낙찰 등 하도급 폐해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요율 문제, 조달청 나라장터 등록을 통한 △상용SW분리발주 문제까지 SaaS 전환을 통해 모두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라도 후발 SW기업들은 앞으로 수년간 최우선 추진 과제로 ‘SaaS 전환’을 리스트에 올려놔야 한다.

물론 SaaS 전환을 위해서는 새롭게 고민해야 할 사항들이 많다. 초기투자 자금·기간의 확보와 새로운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 먼저 전환에 성공한 SaaS 기업의 꾸준한 조언 확보 등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현재는 다가온 변화의 시기에 적응을 ‘시도’해야 하는 시점이다. 그래야 다가오는 SaaS 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